지난 1월 11일, 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을 발표하면서 비트코인 시장에 새로운 역학관계가 만들어졌습니다. 기존에 개인 위주로 움직이던 시장에 기관투자자들의 자금이 대량유입될 것으로 기대되었기 때문이죠. 그러나, 막상 비트코인 가격은 고점으로부터 17%나 하락하면서 ETF 승인이라는 호재가 발생한 것과 역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필자는, 이전 포스팅들에서 꾸준히 ETF 승인이 가격 상승을 추가적으로 견인할 수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ETF 승인이 가시화되면서 ETF 신청서를 낸 자산운용사들은, 기초자산인 비트코인 현물을 작년 하반기에 매집하였고, 당분간은 ETF 상품을 구성하기 위한 비트코인 현물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또, 2021년 비트코인 선물 ET..
비트코인 시세전망 필자는 이전 포스팅에서부터 꾸준히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이 추가적인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기 힘들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에 투자하시는 분들께서는 추가적인 매수를 삼가고 조정자리를 기다리거나, 숏 포지션을 구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비트코인은 현물 ETF 승인이 발표된 1월 11일 당일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했고, 49k의 고점으로부터 41.7k의 저점까지 3일 만에 15%가량 하락했습니다. 비트코인 시세가 장기적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한 부분은 여전히 정보가 부족하여 판단하기 이른 상황이지만 단기적으로는 반등할 위치가 보이는 상황입니다. 위의 하락추세는, 분명히 충격파동인 임펄스파동(Impulse wave)에 해당합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에 따르면..
현지시각 16일, 미 연방준비제도 이사와 유럽중안은행 관계자들의 발언이 매파적(통화긴축적 정책론)으로 해석되면서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S&P500 지수는 0.37%, 나스닥은 0.19%, 다우지수는 0.62% 하락하며 미국 주식시장은 약세를 보였고, 채권과 달러화는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또한, 최근 북한의 전쟁 위협으로 한반도 정세가 불안정해지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외국인 수급을 악화시켜 하방 압력이 더해지자 금일 코스피, 코스닥 지수는 2%가량 하락했습니다. 그럼에도, 금일 대한해운, 흥아해운, STX그린로지스, 팬오션 등 해운주는 강세를 보였는데 이는 최근 홍해에서 발생하고 있는 물류대란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홍해 물류대란이 세계 무역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
솔루스첨단소재는 두산그룹의 계열사로 동박/전지박 사업, 첨단전자소재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동박 사업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전지박 사업을 확장하였고, 최근에는 OLED에 사용되는 전자소재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023년 반도체 업황이 악화되면서 전자회로기판 핵심소재인 동박의 매출이 감소했고, 전기차 수요가 예상을 하회하면서 전지박 매출도 감소했으며 동사업을 영위하는 중국 업체들의 영향으로 수익성이 악화되자 최근 실적이 크게 악화된 상황입니다. 그러나, 규모의 경제를 이룩하는 것이 중요한 해당 사업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반도체, 전기차 사이클이 회복할 가능성이 있는 2025년 전후로 주가가 많이 반등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업비트 두나무 지분 구조와 우리기술투자 ◆ 업비트 (두나무) 지분구조 두나무 주식회사는 비상장 기업으로, 블록체인 가상자산거래소인 업비트(Upbit)와 증권거래 정보 서비스인 증권플러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중, 업비트(Upbit)는 가상자산거래소 시장점유율 1위로 현재 294개 암호화폐에 대한 거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두나무 지분구조를 보면, 송치형 의장, 김형년 부사장, 카카오 다음으로 우리기술투자가 7.2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장사 중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기술투자는 암호화폐 테마, 두나무 관련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우리기술투자가 업비트 뿐만 아니라 여러 신기술금융업에 투자를 하고 있긴 하지만, 2022년까지 우리기술투자 영업이익의 30% 정도는 두나무의 영..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