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I 다이버전스 다이버전스(Divergence)를 사용하는 것은 절댓값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승률을 보여줍니다. RSI를 사용한다는 것은 결국 다이버전스를 보기 위함이라고 생각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RSI 다이버전스는 강력한 추세반전 신호로 작용합니다. 다이버전스는 RSI에만 사용하는 개념은 아니며, 오실레이터 계열의 보조지표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하지만, 다른 지표들에 비해 RSI에서의 다이버전스는 유독 높은 승률을 보이기 때문에 역추세매매를 하는 트레이더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입니다. 다이버전스는, 이웃한 변곡점의 주가와 RSI 상대값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주가는 상승하여 고점을 갱신했지만, 지표는 전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고 오히려 떨어진 현상을 다..
RSI(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강도지수)는 주식, 선물, 파생상품의 등락을 예측하는 기술적 분석에 사용하는 보조지표입니다. RSI는 주가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 사이의 상대적 강도를 비교하여 현재 주가의 위치를 가늠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RSI는 보조지표 중 주가의 모멘텀을 평가하는 보조지표로, 주식이나 코인투자를 하는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해석하는 방법도 간단하기 때문에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몰라서는 안 될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RSI는 역추세매매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지표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큰 비트코인이나 선물, FX, 옵션시장에서 기술적 분석을 통해 수익을 보고자 하는 트레이더에게 특히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RSI의 개념 RSI는 일정 기간 동..
이전 포스팅에서 이평선의 이격도를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인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and Divergence)에 대해 간단히 언급했었습니다. 직역하면, 이동평균 수렴/발산이라는 뜻으로 장단기 이동평균선 간의 이격도를 활용해 매매신호를 포착하고자 하는 기법입니다. 주가에는 영원한 상승도 없고 영원한 하락도 없기 때문에 추세를 만들면서 벌어진 장단기 이동평균선 간의 이격도는 조정국면에서 좁아지게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이격도를 사용해, 추세와 조정을 식별하고 트레이딩에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고, 제럴드 아펠(Gerald Appel)에 의해 MACD라는 보조지표가 선구적으로 연구되었습니다. MACD 지표를 사용하기 위해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에 대한 개념..
이전 포스팅에서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 : MA)의 기본적 정의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동평균선의 일반적인 활용법과, 장/단기 이평선과의 역학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이해하시기 위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 이동평균선은 주가를 예측하는 기술적 분석 도구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HTS, 네이버 증권, Tradingview 등 각종 차트 플랫폼에서 기본으로 세팅되어 있는 유일한 보조지표입니다 bullyuppie.tistory.com 지지/저항 먼저,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지지, 저항선으로 작용할 때가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항생인덱스(HSI)의 일봉차트에 120일..
이동평균선은 주가를 예측하는 기술적 분석 도구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HTS, 네이버 증권, Tradingview 등 각종 차트 플랫폼에서 기본으로 세팅되어 있는 유일한 보조지표입니다. 때문에, 가장 접근성이 좋고 기술적 분석을 공부해 본 사람이라면 모를 리 없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엘리엇파동과 패턴을 활용한 트레이딩방식이 주 무기로 자리 잡은 저에게도 여전히 이동평균선은 정교한 트레이딩을 하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이동평균선이 그 자체로, 매수나 매도 시점을 알려주지는 않지만 잘 활용하면 이러한 정보를 간접적으로나마 제공해 준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주식의 가격자체도 예측하기 어렵지만, 가격보다도 예측이 어려운 것은 '시간'이라는 변수입니다. 주가가 언제쯤 고점에 도달하고, 언제 조정이 ..
보조지표란? 보조지표(Technical Indicator)란 차트에 기본적으로 제시되는 캔들, 거래량 등의 정보를 다양한 계산식, 통계적 도구를 통해 해석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주가가 변화하는 흐름에서 현재 흐름의 상대적/절대적 강도나, 추세 방향성의 세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후행성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초보 트레이더들이 보조지표에 의존해서 트레이딩을 하려고 하지만, 보조지표에 의존하는 태도는 승률을 더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보조지표는 성격에 따라 다음 5가지 종류로 구분됩니다. 1. 추세지표 MA, EMA, MACD, CCI, ADX, DMI, Parabolic Sar 등 추세지표는 추세의 진행방향을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보통 추세추종매매를 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때문에 주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