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는 LG화학, 포스코퓨처엠, 앨엔에프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배터리 산업은 전기차 산업의 후방 산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장기적으로 배터리 산업이 창출할 부가가치가 엄청날 것이라는 인식에 따라 2023년 배터리 산업은 역사적인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에코프로는 에코프로비엠이라는 자회사에서 생산한 양극재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전기차 배터리의 부품이 되는 '양극재'라는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은 2023년 엄청난 성장을 했고 전기차 시황이 나빠지기 시작한 작년 하반기 이후로는 주가가 조정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의 조정이 언제까지 이어질 것이며 반등할 가격, 반등할 시점은 언제..
전구체, 양극재 산업의 핵심 기업 에코프로 ◆ 전기차 시장이 이끄는 배터리 산업 배터리 제조 산업을 영위하는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은 2023년, 폭발적인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덕분에,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는 코스닥 시장에서 시가총액 1위, 2위를 기록하는 기업이 되었습니다 이들 기업이 성장했던 이유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전기차 시장이 비약적으로 성장했기 때문입니다. 전기차의 핵심 부품은, 동력원이자 제조원가의 40%를 차지하는 배터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방 산업인 전기차 산업이 후방 산업인 배터리 산업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산업은 시장 성장성이 높고, 활용 범위도 넓기 때문에 배터리 산업이 앞으로 창출해 낼 부가가치는 엄청납니다. 기후 위기가 단기간에 해결될 문제가 아님을 감안하면..
코스닥 시가총액 4위 기업인 포스코DX가 2024년 1월 2일 코스피로 이전상장합니다. 코스피로 이전상장하게 되면 코스피 200등 지수추종펀드에 들어갈 수 있고, 기관투자자의 수급을 개선할 수 있기에 포스코DX에는 호재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2023년 이차전지 관련주에 많은 수급이 들어오면서 포스코DX는 한 해 동안 1087.2%나 상승했고, 국내 증시에서 주가 상승률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포스코DX가 영위하는 스마트팩토리 사업에 대한 관점과 함께, 포스코DX가 코스피 시장에 이전상장한 후 주가전망까지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포스코DX가 영위하는 사업에 대해서 아래 포스팅에 보다 상세히 설명해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포스코DX 코스피 시장 이전 상장 후 주가..
셀트리온 주가 전망 ◆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합병 셀트리온은 국내 제약회사입니다. 제약 산업은 크게 합성의약품 산업과 바이오 의약품 산업으로 나뉘는데, 셀트리온은 이 중 신생 산업인 바이오 의약품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셀트리온은 바이오 의약품 산업 중에서도,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을 본떠서 생물학적 동등성을 가지는 바이오 시밀러 의약품을 만드는 산업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최대인 140,000L 규모의 단백질 의약품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초로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를 미국 FDA로부터 판매 승인받은 이후 5개의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받았습니다. 셀트리온의 고질적인 리스크는 분식회계 논란입니다. 상업화 가능성이 불확실한 R&D 비용을 무형자산으로 ..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벌크선사인 팬오션의 주가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12월 18일, 산업은행을 대표로 하는 채권단이 하림그룹과 JKL파트너스 컨소시엄을 HMM인수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면서 팬오션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팬오션은 하림그룹이 지분의 54%를 보유하며 경영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벌크선사인 팬오션과 컨테이너선사인 HMM을 동시에 경영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하림그룹은 HMM인수자금조달을 위해 팬오션에 2조 원가량의 유상증자를 고려하고 있으며 팬오션의 시가총액이 2조 인 것을 감안하면 이는 주가에 강한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이로 인해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이후, 4 거래일 동안 주가가 20% 이상 하락한 상황입니다. 해운 산업 생태..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컨테이너선사이자, 글로벌 8위 선사인 HMM의 주가전망을 차트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18일, 산업은행을 대표로 하는 채권단이 하림그룹과 JKL파트너스 컨소시엄을 HMM 경영권 인수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겠다는 발표를 했습니다. 그 직후, 하림과 HMM은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종목이 되어 주가가 50% 상승하기도 했습니다. HMM은 컨테이너선사입니다. 컨테이너선은 원자재를 가공해 생산한 완제품을 컨테이너에 포장하여 운송하는 선박으로, 원자재를 운송하는 벌크선사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컨테이너선사들의 업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선박 운임입니다. 팬데믹 시기에 세계 물류 공급망이 경화되자 선박 운임이 크게 상승했고, 이에 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