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사업으로 알아보는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주가전망

에코프로는 LG화학, 포스코퓨처엠, 앨엔에프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배터리 산업은 전기차 산업의 후방 산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장기적으로 배터리 산업이 창출할 부가가치가 엄청날 것이라는 인식에 따라 2023년 배터리 산업은 역사적인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에코프로는 에코프로비엠이라는 자회사에서 생산한 양극재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전기차 배터리의 부품이 되는 '양극재'라는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은 2023년 엄청난 성장을 했고 전기차 시황이 나빠지기 시작한 작년 하반기 이후로는 주가가 조정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의 조정이 언제까지 이어질 것이며 반등할 가격, 반등할 시점은 언제인지를 알아보겠습니다.

 

 

2차 전지 생태계 : 전구체와 양극재, 배터리 재처리 사업에 대한 이해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깨달은 오늘날 세계의 지도자들은 기후변화협약 당사국들의 탄...

blog.naver.com


에코프로 계열사 구조와 사업분야

 

◆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역학관계 속 에코프로

 

배터리 산업이 주요 분야로 떠오른 이유는, 세계적인 환경규제의 영향으로 완성체 업체들이 전기차 생산을 강요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전기차 제조단가 6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인 배터리 산업도 그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을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이를 흔히, 배터리 셀 4대 소재라고 부르는데 에코프로는 이 중 배터리 원가의 62%를 차지하는 고부가가치 소재인 양극재 산업에 집중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배터리 산업 생태계 , Source : 삼정kpmg 경제연구원

 

경제성 있게 생산한 양극재를 LG에너지솔루션, SK ON, 삼성 SDI 등의 배터리 제조 기업에 납품함으로써 매출을 만드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에코프로의 계열사는 이 양극재 사업을 전개하는 데 있어 필요한 원료들을 생산, 조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관계

 

에코프로는 지주회사입니다.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등 자회사를 관리하고 투자사업 부문을 영위하는 것이 목적이며, 기존에는 에코프로라는 회사 안에 모든 계열사가 종속되어 있었지만 물적분할로 계열사 분리를 한 구조입니다.

 

웃긴 것은, 에코프로그룹 매출의 95%가 에코프로비엠에서 나오는 만큼 에코프로비엠이 핵심 계열사인데 이 계열사를 물적분할하여 에코프로라는 지주회사는 껍데기만 남았다는 것입니다.

 

미국증시에서는 이렇게 신설법인을 설립하는 것이 증권시장을 왜곡할 수 있기 때문에, 물적분할은 하더라도 상장을 하지는 않는데 국내증시에서는 틈만 나면 물적분할, 상장을 하죠. 카카오에서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를 신설, 상장한 후 카카오 주가가 박살 난 것도 똑같은 개념입니다.

 

무튼, 에코프로의 주요 계열사를 보면, 에코프로씨엔지,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에코프로에이피,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이엠 등이 있습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양극재의 원료가 되는 전구체를 생산합니다.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양극재의 원료인 고순도 리튬을 생산합니다. 그리고 전구체, 양극재, 리튬 생산 전반에 사용되는 수소, 산소 등의 가스를 고순도로 생산하는 기업이 에코프로에이피입니다.

 

이렇게 조달받은 양극재 원료들로 양극재를 생산하는 기업이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이엠이며 에코프로이엠은 삼성 SDI와의 합작법인입니다. 그리고, 수명이 다한 폐배터리를 재처리하면 전구체나 리튬 등의 희귀 원소를 얻을 수 있는데 이 사업을 에코프로씨엔지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생산한 양극재를 삼성 SDI, SK ON 등 배터리 셀 기업에 납품하면, 배터리 셀 기업은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등을 조립하여 일정한 폼팩터의 배터리를 제조합니다. 완성된 배터리를 현대, 폭스바겐, 테슬라 등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는 것이 배터리 사업의 전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에코프로 사업전략

 

에코프로는 위와 같이 양극재 사업 전반의 수직계열화를 통해 수익성을 높였습니다. 동시에 생산라인 증설에 공격적인 투자를 하며, 세계 시장 점유율(CAPA) 확대와 함께 양극재 생산량 국내 1위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국내 양극재 기업의 생산능력을 보면 2022년 에코프로비엠이 20만 톤을 생산하고 있는데, 생산라인을 증설함으로써 2028년 72만 톤의 생산능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으로 인해 국내 양극재 기업들의 입지는 점점 확대될 것이며, 에코프로머티리얼즈를 기반으로 전구체 사업까지 내재화하고 있는 것 또한 에코프로의 성장에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 요소입니다.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주가 전망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차의 구조 상, 전기차 산업은 배터리 산업을 이끄는 전방산업입니다. 전기차가 잘 팔려 수요가 증가하면, 배터리의 수요도 같이 증가하고 수요가 감소하면, 배터리의 수요도 감소하며 시황이 안 좋아지는 것이죠.

 

지난 2~3년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고도성장기를 맞이하였으나 2023년 하반기부터 소비자 수요 감소, 금리인상으로 인한 수요 약화, 장기적 사이클이 맞물리면서 주가는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전기차 판매는 지난 7~8월에 급격히 둔화되었지만 신차출시, 정부보조금 확대 등으로 11월부터 실적이 반등하고 있습니다. 2035년 세계 전기차판매 점유율이 68%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점유율이 16%에 불과한 현재는 아직 시장의 초입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차 시장에 대한 투자는 장기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을 차치하고서라도 주가의 장기적인 사이클 상 현재는 주가가 반등할 위치에 와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 주가 전망

아래는 에코프로의 주봉 로그차트입니다. 차트를 보면, 에코프로가 상장한 2007년 이후 주가의 장기적 사이클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로그 스케일이기 때문에 일반 차트의 모습과는 괴리감이 있습니다.

 

로그 스케일로 보는 이유는, 지수이동평균선의 교차배열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이에 근거하여, 파동을 구분하면 주가는 크게 3개의 흐름으로 구분됩니다. 

 

08년 11월 ~ 11년 7월 : 5-3-3 규칙형 ABC패턴의 상승추세

11년 7월 ~ 20년 3월 : 5-3-3 러닝플랫 ABC 패턴의 조정

20년 3월 ~ 현재 : 임펄스(Impulse) 상승추세 진행 중

에코프로 주가 차트 (주봉, 로그스케일)

 

이 분석대로라면, 현재는 임펄스 파동이 진행 중인 것이며, 적어도 한 번의 큰 상승이 남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상승은 23년 8월의 전고점을 돌파하는 상승이 될 것입니다.

 

그러니, 23년 8월부터 현재까지 주가가 하락하는 조정은 엘리엇 파동이론 상 마지막 상승인 5파 직전의 4파 조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조정은 엘리엇 파동이론의 2파 조정구간과 비슷한 크기로 진행되어야 하며 그 기준은 주봉상, 지수이동평균선의 20일선과 40일선이 교차하는 것입니다.

에코프로 주가 차트 (주봉, 일반) / * 골든크로스는 오타, 데드크로스가 맞음

 

현재 이동평균선은 데드크로스에 임박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조만간 주가는 반등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그 시점은 23년 10월 경 만들어진 저점을 갱신한 이후라고 생각합니다.

 

현시점에서 주가의 움직임에 대한 가능성은 크게 2가지입니다. 위의 관점이 틀려서, 추가적인 하락을 하거나 위의 관점대로 고점 갱신을 위한 상승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23년 8월부터 23년 10월까지의 하락파동이 ABC패턴임을 감안하면 주가가 23년 10월의 저점을 깨고 내려가면 빠르게 반등해서 러닝플랫 패턴으로 이어질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이후에 추가적인 하락을 할 수도 있겠지만, 단기간은 반등할 확률이 높으며 이 폭이 60% 가까이 되기 때문에 당분간은 매수하는 전략이 유리합니다. 

에코프로 주가 전망에 대한 두 가지 관점

 

이에 따라, 잠재반전구간인 547000원부터 매수해서 845000원에서 1차 수익실현, 1671000원에서 최종 수익실현을 한다면 손해 볼 확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트레이딩 전략이 될 것입니다.

에코프로 매수, 매도 가격

에코프로비엠 주가 전망

(추후 업로드 예정)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주가 전망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상승구간의 초입에 와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 참고해 주세요.

 

전기차 배터리 산업으로 알아보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주가 전망

전구체, 양극재 산업의 핵심 기업 에코프로 ◆ 전기차 시장이 이끄는 배터리 산업 배터리 제조 산업을 영위하는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은 2023년, 폭발적인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덕분

bullyuppi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