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035420)는 코스피에 상장된 시가총액 37조의 대기업입니다. 해외에는 구글이라는 플랫폼의 검색 점유율이 높지만, 유독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네이버의 검색 점유율이 높고, 그렇기 때문에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를 수가 없는 포털 사이트입니다. 자체 검색 엔진을 중심으로, 블로그/카페 등의 커뮤니티 서비스뿐만 아니라, 자체 메신저 라인, 지식백과 서비스까지 무궁무진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업에 대한 정보는 많은 분들이 아실 테고, 저보다 해당기업에 대한 인사이트가 뛰어난 분들도 많을테니 거두절미하고 차트분석만 하겠습니다. 차트 분석 네이버 주가는 2010년대 10만 원~20만 원에서 보합권을 형성하다가, 2010년대 후반부터 자체 펀더멘탈 상승과 코로나 사태가 낳은 유동성 증대로 주가가 폭..
7월 11일에 업로드했던 국내주식 종목인 디어유의 차트분석 포스팅에서는 중기적으로 상승할 확률이 높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포스팅을 작성한 직후 이틀에 걸쳐, 단기간 7% 상승했지만 38000원까지 가격이 빠르게 하락한 상태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가격이 추가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가격이 하락반전한 구간은 120일 지수이동평균선이 놓여 있던 곳으로, 일반적으로 강한 지지/저항이 되기 때문에 하락할 확률이 있었습니다. 이전 분석에서 언급하려 했지만 이동평균선에 관한 포스팅이 최근에야 업로드되면서 생략했는데, 결국에 저항을 맞고 하락한 모습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장기적으로 상승한다는 관점 1과, 중기적으로 상승하지만 재차 하락한다는 관점 2, 장기적으로 하락한다는 관점 3 총 세 가지의 관..
디어유(376300) 차트분석이번 포스팅에서 분석할 종목은 디어유(376300)입니다. 디어유는 21년 하반기에 코스닥에 신규상장된 종목으로, 현재는 시가총액 9578억으로 코스닥 62위에 랭크되고 있는 종목입니다. 디어유는 상장 후인 21년 11월부터 22년 10월까지 약 1년간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다 현재는 반등에 성공하여 40350원에 주가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해당 종목이 중기적으로 최소한 48000원은 넘기는 상승을 할 확률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상장 후 약 1년간의 하락파동이 끝났을 확률이 높고, 그렇다면 하락파동에 대한 충분한 조정을 해야 하며 22년 10월부터 23년 2월까지의 상승은 하락파동을 충분히 조정하지 못했기 때문에 추가적인 상승이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엘리엇파동이론 ..
셀트리온(068270) 차트분석 이번 포스팅에서 분석할 종목은 셀트리온(068270)입니다. 셀트리온은 단기적으로 하락하면서 133700원의 이전 저점을 갱신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저점을 갱신한 이후에는 빠르게 다시 반등하면서 최소한 19만원 언저리까지 도달할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셀트리온은 주식하는 사람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는 코스피 시가총액 15위의 대기업입니다. 전체차트를 보면, 2006년 상장 이후부터 2018년 첫 번째 고점까지 꾸준히 상승한 후 조정을 받다가 코로나 때의 유동성 공급으로 두 번째 고점을 만든 상황입니다. 전체적으로 더블탑 패턴을 만들면서 가격이 하락했고, 현재는 그림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하단의 저항라인을 깨려고 시도하면서 가격적으로 굉장히 불안한 것처럼 보이는 상..
태광(023160) 차트분석 이번 포스팅에서 분석할 종목은 태광(023160)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올 하반기에는 20%에 달하는 조정이 예상됩니다. 2020년 바닥에서부터 2022년 9월까지의 상승은 추세상승인 임펄스가 아니라 ABC파동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ABC파동에 대한 충분한 조정을 해야 하고, 현재의 흐름을 보았을 때 20250원의 고점을 한 번 갱신하고 나면 가격이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선 전체 차트부터 보면, 해당 종목은 코스닥에 상장되어 2004년부터 꽤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크게 2008년 금융위기 때의 하락과 2013년부터 유동성축소로 인한 가격하락의 모습이 보이고, 여느 주식과 다를 바 없이 코로나 발생 당시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바닥권을 형성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