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3. 디어유 시세/전망 차트분석 (376300)

디어유(376300) 차트분석

이번 포스팅에서 분석할 종목은 디어유(376300)입니다. 디어유는 21년 하반기에 코스닥에 신규상장된 종목으로, 현재는 시가총액 9578억으로 코스닥 62위에 랭크되고 있는 종목입니다. 디어유는 상장 후인 21년 11월부터 22년 10월까지 약 1년간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다 현재는 반등에 성공하여 40350원에 주가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해당 종목이 중기적으로 최소한 48000원은 넘기는 상승을 할 확률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상장 후 약 1년간의 하락파동이 끝났을 확률이 높고, 그렇다면 하락파동에 대한 충분한 조정을 해야 하며 22년 10월부터 23년 2월까지의 상승은 하락파동을 충분히 조정하지 못했기 때문에 추가적인 상승이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엘리엇파동이론 적용

차트에 엘리엇파동이론을 적용해 파동을 매겨보겠습니다.

그림은 디어유 차트에 파동이론을 대입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해당 종목은 21년 11월부터 22년 10월까지의 큰 하락파동을 만들었으며 이후 23년 2월까지 상승조정을 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다시, 이 상승조정에 대한 하락조정이 이루어져 현재가격에 머물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파동이론을 대입한 디어유(376300)차트

상장 직후 단기간 급상승했던 가격이 21년 말의 긴축정책과 자체 펀더멘탈 약화로 22년 2월까지 1차적으로 하락했습니다. 세부파동은 ABC 규칙형 조정패턴입니다.
A : 5-3-ni
B : ni-3-3
C : 임펄스(Impulse)

※ni : non-impulse라는 의미로, 3개의 파동으로 구분되는 abc도 아니고 정확히 impulse도 아니지만 추세처럼 보이는 파동입니다.
         필자가 업로드한 Pseudo-impulse도 non-impulse의 특수한 경우입니다. 추후에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이후 22년 2월부터 22년 4월까지 위의 1차 하락파동에 대한 조정이 만들어졌습니다. 시간적으로는 부족해 보이지만, 가격적으로는 1차 하락파동의 A파 종점에 해당하는 저항선까지 충분히 조정을 한 모습입니다. 세부파동은 슈도임펄스(Pseudo-impulse)입니다.
 
(슈도임펄스의 정의가 궁금하시다면?)
차트분석 7. 슈도임펄스(Pseudo-Impulse wave)

이후에는 1차 하락파동에 대한 조정이 끝나고 다시 하락하면서 2차 하락을 겪었고, 가격은 22년 10월경에 최저점에 도달했습니다. 2차 하락파동에 대한 세부파동 ABC 규칙형 조정패턴입니다.
A : 임펄스(Impulse)
B : 3-3-3 러닝플랫(Running Flat)
C : 임펄스(Impulse)
 
이렇게 21년 11월부터 22년 10월까지 (그림에서) 검은색 ABC 하락파동을 만들고 22년 10월부터 23년 2월까지 하락파동에 대한 1차 상승조정(붉은색 파동)을 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상승파동과 이평선패턴에 대한 정보들을 종합해 지난 1년간의 하락이 끝났을 확률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검은색 하락파동에 대한 충분한 조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붉은색 상승조정은 검은색 하락파동 전체를 가격, 시간적으로 충분히 조정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상승조정이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디어유 단기적 관점

22년 10월부터 23년 2월까지 상승조정파동 이후, 23년 5월까지 이 상승조정파동에 대한 소폭의 하락조정(파란색 abc파동)이 이루어졌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하락조정은 붉은색 상승파동을 가격, 시간적으로 충분히 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후에는 붉은색 상승파동의 조정이 완료가 되었기 때문에 가격이 다시 상승할 것으로 보는 것이 확률적으로 높은 사고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크고 작은 파동에서 조정이 충분하지 못했을 수 있기 때문에 2가지 예비관점을 추가로 세웠습니다.
 

  • 관점 1

첫 번째 관점은, 22년 10월부터 23년 2월까지의 상승파동이 파란색 ABC 규칙형 조정패턴에 의해 충분히 조정이 되었고, 이에 따라 라 추가적으로 상승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상승한다면 21년부터 22년 말까지의 하락파동을 가격적으로 가장 빠르게 조정하는 것이 되겠으며, 목표가는 올라가는 모습을 봐야겠지만 최소한 65000원까지는 상승할 확률이 높습니다.

가장 확률이 높으면서 손익비도 좋은 관점입니다.

그림은 디어유 차트에 대한 분석 결과 필자가 생각하는 확률이 높은 첫 번째 관점에 대한 모식도입니다. 이 관점은 22년 10월부터 23년 2월까지의 ABC 상승조정패턴이, 지난 3개월간의 ABC 하락조정으로 충분히 조정이 되었고 이후 큰 상승을 할 것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디어유 중기적 관점1
  • 관점 2

두 번째 관점은, 붉은색 상승파동에 대한 조정이 파란색 ABC규칙형 조정패턴에 의해 충분히 조정되지 않았다는 관점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더 큰 조정을 겪은 후에 가격이 상승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진행될 경우 시간적으로 길게 끌면서 진행될 테니 올해 말쯤 되어서야 가격이 상승할 것이고, 상승하더라도 61000원의 강한 저항선 부딪힐 확률이 높습니다.

확률은 가장 낮다고 생각합니다.

그림은 디어유 차트분석에 대한 가장 확률이 낮은 두 번째 관점을 그린 모식도입니다. 22년 10월부터 23년 2월까지의 상승이 지난 3개월간의 하락파동으로 충분히 조정되지 않아서 추가적인 조정이 남았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저점을 한 번 갱신하고 상승하는 경로가 그려져있습니다.
디어유 중기적 관점2
  • 관점 3

세 번째 관점은, 1년간의 ABC하락파동을 그림과 같이 확장형 조정패턴으로 조정하는 것입니다. 신규상장 주식이 바닥권에서 이러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가장 경계해야 할 관점입니다. 이 관점이 존재함으로 인해, 해당 주식은 매수하고 존버나 장기투자로 가져가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확률은 관점 2와 비슷하다고 평가합니다.

그림은 디어유 주가에 대한 3번째 관점으로 가격이 더 큰 조정을 받아 22년 10월의 저점을 훼손한 뒤에 크게 상승한다는 관점입니다. 이 관점은 1년간의 하락파동에 대한 조정이 확장형 조정패턴으로 나올 것이라는 예측에 기반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주가의 예상움직임이 그려져 있습니다.
디어유 중기적 관점3

디어유 스윙전략

이상의 분석들을 종합해 봤을 때, 디어유는 다음과 같은 스윙전략을 시도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가장 확률이 높은 2개의 관점이 단기적으로는 48000원 정도까지의 상승을 공통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현재가 언저리에서 매수 후, 48000원이 오면 반절을 매도하고 나머지는 관점 1에 의해 6만 원을 넘기는 장기적 상승이 나올 때까지 홀딩하는 것입니다.

손절은 이전 저점인 34300원에서 무조건 진행해야 합니다. 관점 3처럼 가격이 크게 하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낮은 확률로 저점을 아주 약간 갱신한 후 반등할 수도 있다고 보는데(Falling Wedge패턴) 확률이 낮기 때문에 일단 손절을 해놓고, 이후에 상황을 다시 엿보는 게 리스크관리 입장에서 합리적입니다.

그림은 필자가 분석한 여러가지 관점들을 종합한 결과, 가장 합리적인 매매를 했을 때 가질 수 있는 진입/청산 전략과 손익비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현재 가격에서 매수하는 스윙전략을 취했을 때 손절은 14%, 수익은 최대 60%까지 볼 수 있는 전략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디어유 진입/청산 전략 및 손익비

14%의 손절을 감수한다면 40%가량의 수익을 볼 수 있는 전략이 되겠습니다.


절대 특정 주식이나, 코인, 상품 등에 대한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보유하고 있는 주식에 대한 분석, 추천은 하지 않습니다.
제 주관적 분석을 통해 매수/매도 결정을 하는 것이 아닌 공부를 위한 자료로 활용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