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3. 비트코인 전망 : 현시점 엘리어트 파동이론 분석

2023년 6월 25일 비트코인 시세/전망 분석입니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비트코인은 4만 달러 부근으로 향할 확률을 높게 보고 있지만, 고점을 갱신한 현재를 시발점으로 가격이 빠르게 상승할지, 조금 더 조정을 받고 갈지의 확률을 저울질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조정을 받고 가게 된다면 가격적으로는 27000달러까지의 조정을 8월까지 해야 4만 달러로 향하는 큰 상승이 나오리라 기대합니다.

지난번 매매를 복기해 보면, 6월 15일경 예측한 바닥으로부터 8%가량의 상승을 롱포지션으로 수익실현 한 이후에 가격의 하락을 예측하고 공매도 포지션에 진입하였으나 6월 21일을 전후로 20%에 가까운 추가적인 상승이 나오면서 이전의 공매도 포지션은 StopLoss, 약손절로 마무리되었습니다.

현재는 위에서 말한 두 가지 관점에 대한 확률을 저울질하고 있으며, 어느 하나의 우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포지션 없이 관망 중에 있습니다.

 

이전 비트코인 분석

비트코인 1. 비트코인 단기반등 아이디어

비트코인 2. 이전 아이디어 검증/ 비트코인 전망

 

 

위의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24.9k 부근에서 잡았던 선물 롱포지션(Long)은 러닝플랫형의 조정패턴이 나올 확률을 높게 평가하여 26.7k 부근에서 매도했었습니다. 동시에 숏포지션(Short)에 진입하여 24k 언저리까지 공매도 수익을 본 후에, 24k에서 시드 전체를 롱포지션에 투입하겠다는 것이 위에서 두 번째 글의 시나리오였습니다.

위와 같이 생각했던 근거는 24.8k로부터의 상승파동이 임펄스가 아닐 확률이 높다라고 생각했고, 임펄스라고 하더라도 러닝플랫형 패턴을 형성하는 데는 무리가 없기에(규칙에 위배되지 않음) 가격의 하락에 무게를 실었던 것입니다.

또한, 아래 그림과 같이, 22년 11월에 형성한 15k 부근의 저점으로부터의 상승추세는 명확히 ABC상승 조정파동인데, 이를 파란색 경로와 같이 시간적, 가격적으로 충분히 조정을 하는 것이 이상적이기에 바로 상승으로 이어지기에는 조정이 불충분하다고 판단했었습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제가 예상했던 파란색의 ABC 하락조정파동처럼 충분한 조정을 이루지 못하고 이전 고점을 갱신하게 되었습니다. 때문에 26.7k에서 잡았던 숏포지션은 3%가량의 손실로 마무리했고 지금까지 관망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비트코인의 일봉 차트와 예상했던 ABC 조정패턴의 경로입니다. 충분한 조정을 위해서는 그림의 경로처럼 C파동의 마이너 c파동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이를 근거로 그림의 경로를 예상했었고 실제로도 공매도를 진행했었습니다. 하지만 예상이 틀렸기 때문에 손절이 있었습니다.
비트코인 일봉 차트와 예상한 ABC 조정패턴

비트코인 장기적 관점

다시 한번 중, 장기적 관점을 살펴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은 왼쪽 그림과 같이 2010년 탄생 이후 꾸준히 우상향 하는 모습입니다. 이 상승추세가 계속 지속될지, 꺾이게 될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기술적 분석으로 수일~수주 간의 스윙거래를 하는 입장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는 딱히 중요하지 않습니다. 단기적인 차트에서 먹을거리를 충분히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BraveNewCoin Index, BLX 비트코인 주봉 차트로 비트코인이 탄생한 2010년부터 지금까지 모든 봉을 기록한 차트를 로그스케일로 본 것입니다. 로그차트 상으로 보면 비트코인은 꾸준히 상승추세를 유지해 오고 있습니다. 당분간은 이 추세가 끝나지는 않으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림은 2021년 11월 만들어진 비트코인의 최고점 69000달러에서부터 2022년 11월 최저점 15000달러까지의 하락파동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엘리엇파동 이론으로 분석하여 크게 3개의 파동으로 구분지은 모습도 나타나 있습니다. 디테일하게는 3-3-3 ABC 조정패턴에 해당합니다.

 

다시 조금 더 작은 스케일로 보면, 지난 2018년 말 바닥에서 시작된 파동은 2021년 말까지 임펄스 추세상승을 만들며 마무리되었고, 코로나로 인한 유동성 공급이 촉발원인이 되어 3000달러부터, 69000달러까지 시세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2021년 말부터, 2022년 말까지의 하락은 지난 3년간의 상승을 가격적으로 빠르게 조정하는 ABC조정파동에 해당했습니다. 저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위의 파란색 하락조정이 명확한 ABC조정파동이었다는 것입니다.

세부적인 모습을 보면 왼쪽 그림과 같습니다. 왜 조정파동이 다음과 같이 구분되는지는, 이평선의 배열모습과 파동의 비율로서 구분하는데 이는 추후에 자세히 기술하겠습니다.

큰 ABC조정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이후에 남은 것은 이 하락조정에 대한 상승조정이고 올해 초부터 이루어진 상승이 이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후에는 아래와 같이 크게 30k, 41k, 52k의 매물대 저항이 남아있고 최근의 30k에서의 지지부진한 모습은 이런 매물대 저항에 부딪혔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중기적 관점 2가지

중기적 관점에서 2022년 11월 15k 바닥에서 시작하여 2023년 4월 30k까지 만들어진 5개월간의 파동은 ABC 상승파동일 확률이 높습니다. 아래와 같이 조정의 패턴 한 유형인 상승쐐기형(Rising Wedge) 패턴을 만들었으며, 전형적인 5-3-3 ABC (임펄스-조정-abc상승)의 형태입니다. 때문에 지난 5개월간의 상승은 추세상승이 아니라 상승조정형의 형태였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림은 2022년 11월, 비트코인의 바닥인 15000달러부터의 상승 파동을 일 봉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차트 상에 주황색으로 ABC 상승 조정 패턴이 그려져 있으며 이 패턴이 Rising Wedge라는 상승쐐기형 패턴을 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5개월 동안의 상승은 ABC 패턴이었다.

 

  • 첫 번째 가능성은, 지금의 단기적 임펄스 상승이 이어져 추세로 상승하는 것입니다.

 

임펄스를 포함한 ABC 패턴으로 진행된다면 38k 부근에서 저항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5개의 파동으로 구분되는 임펄스로 상승이 진행된다면 초반에 언급했던 41k 부근 매물대까지 빠르게 올라갈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될 확률은 높지 않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 두 번째 가능성은, 러닝플랫(Running Flat)의 불규칙 조정패턴을 만들고 가격이 상승하는 것입니다.

 

이는 지난 수주 간의 하락조정(그림에서 파란색 조정)이 5개월간의 ABC상승조정(그림에서 주황색 파동)을 충분히 조정하지 못했다는 생각에서 기인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추가적인 조정을 하여 러닝플랫 ABC 조정을 만들고 추가적으로 상승하는 것이 조정의 사이즈 관점에서는 확률이 높은 생각이긴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진행된다면 지난 1주일에 걸친 상승파동이 러닝플랫패턴의 B파 자리에 해당하는데, 현재 이 파동이 임펄스파동으로

보이고, 종류에 상관없이 조정패턴의 B파에서는 임펄스가 나오지 않을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즉 ABC 조정에서 B파는 임펄스가 아닐 확률이 높은데, 이렇게 진행된다면 조정의 B파가 임펄스인, 통계적으로 예외인 상황에 가깝다는 것입니다.

만약 최근의 상승파동이 명확히 임펄스가 아니었다면, 러닝플랫형 조정을 기대하고(사실상 확신) 고점을 갱신하는 자리에서 공매도 전략을 사용했을 텐데 위에서 언급한 이유들로 이런 전략을 사용하기는 적합하지 않아 보입니다. 하지만 가장 가능성이 높은 관점으로 보입니다.

이 관점이 유지되려면, 32.7k를 당장에 넘겨서는 안 됩니다. 현재 단기적 파동의 모습으로 보아, 한 번 더 고점을 갱신할 수도 있어 보이는데 31.8k에서 저항을 받는지 여부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그림은 필자가 본문에서 언급한 현 시점에서 진행될 수 있는 가장 높은 가능성의 경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경로는 ABC 러닝 플랫형의 패턴으로써 비트코인이 더 큰 상승을 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의 상승을 충분히 조정해야 한다는 인사이트에서 비롯된 예측의 결과물입니다.
두번째 가능성, 러닝플랫 조정패턴을 예측한 경로

 

어느 하나 확률을 높게 평가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없습니다. 그나마 가장 확률을 높게 평가하는 아이디어는 두 번째 관점이긴 합니다. 하지만, 지금 상승이 나오든, 나중에 상승이 나오든 결국에 40k 부근을 간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때문에, 당장에 투자에 나선다면, 현물매수를 할 수 있겠고, 조금 안정적인 투자를 추구한다면 2번째 아이디어처럼 지금의 고점갱신이 추세로 이어지지 않고 1~2달간 25k 부근의 직전 변곡점을 깨뜨리지 않는 선에서 가격이 조정을 받고 내려오면 매수하는 방법이 가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