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5. 비트코인 시세/전망 : 추세반전 예측성공

7월 3일에 작성한 이전 포스팅에서 비트코인 가격의 하락과 함께 31.8k에서의 추세반전을 예상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필자가 예상했던 것처럼, 7월 14일에 바이낸스 현물차트 기준으로 31804.2달러, 선물차트 기준으로 31850달러까지 상승한 후 가격이 단기간 7%가량 하락했습니다.

필자는, 6월 중순에 비트코인의 가격이 단기간 27%나 상승하는 동안에도 진짜 추세로 이어질 상승이 아닐 확률이 높으며 중기적으로 26k 부근까지 다시 하락해야 추세상승으로 이어질 힘이 있다고 설명드렸습니다.

31.8k 추세반전 예상글 : 6월 25일 / 7월 3일 작성

비트코인3. 비트코인 전망 : 현시점 엘리어트 파동이론 분석

비트코인4. 비트코인 전망/파동분석, 현물ETF?

 


비트코인 가격하락을 예상했던 근거

아래는 각각 6월 25일과 7월 3일에 필자가 비트코인 차트를 분석한 내용입니다. 두 포스팅에서 모두 하락할 확률을 높게 예상했었고, 궁극적으로 31.8k 부근이 PRZ(잠재반전구간)이라고 설명드렸습니다.

 

그림은 필자가 이전 글에서 예상한 러닝 플랫 패턴으로 단기적인 움직임이 진행될 경우를 그려낸 것입니다. 이때 가격이 잠재적으로 반전할 수 있는 구간(PRZ)는 31.8k의 가격대이며, 이 예측이 틀리는 기준은 가격이 32.6k를 임펄스로 넘어서는 것이라고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림은 필자가 이전 포스팅에서 예상한 비트코인의 하락 예상경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31.8k에 약한 저항대가 표시되어 있고, 가격이 크게 상승하는 파란색 점선경로나 가격이 하락하는 초록색 점선경로나 고점을 한 번 갱신한 이후에는 최소 5%의 조정을 할 것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비트코인 차트의 모습은 아래와 같습니다. 7월 14일에 필자가 예견했던 고점 31.8k를 만들면서 가격이 하락하고 있으며, 이는 필자의 예상 후 11일 만의 결과입니다. 아직 중기적 그림은 완성되지 않았지만, 단기적인 파동의 흐름과 추세반전구간 면에서는 성공적인 예측을 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7월 21일 현재 비트코인 차트

필자가 하락을 예견했던 이유는 이전 글에서 잘 설명되어 있는데, 요약하자면 엘리엇파동이론을 20세기 엘리엇의 이론대로 적용한 것이 아니라, 21세기의 비트코인 차트에 맞춰 교정한 파동이론을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엘리엇은 러닝플랫형 패턴이 예외적인 사항이라고 설명했지만, 필자의 백테스팅 결과는 러닝플랫형 패턴의 발생확률이 알려진 것보다 높으며, 현재 구간에서 상승하기에는 조정이 부족하기 때문에 가격이 고점을 갱신하면 러닝플랫형 패턴으로 추가적인 조정을 할 확률이 높다고 설명드렸습니다.

또한, 31.8k를 PRZ(Potential Reversal Zone)으로 꼽았던 이유는 피보나치 비율과 매물대해석 등을 조합한 결과인데 이 방법론은 아직까지 블로그에 업로드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하면, 보통 0.5% 오차 이내로 추세반전 구간을 찾을 수 있는데 이번 하락예측은 그중에서도 굉장히 오차가 적었던 경우인 것 같습니다.

 

트레이딩 복기

31.8k에서의 저항/반전을 3주 전부터 예상하고 있었고, 이전 글에서 확률이 높은 모든 관점이 31.8k에서의 단기간 하락을 공통으로 하기 때문에 단타관점에서 공매도(Short) 전략을 사용하겠다고 했었습니다.

실제로는 체결이 안될 것을 고려하여 조금 낮은 31760달러에서 숏 포지션을 오픈했고, 단기적 러닝플랫 패턴 이후 임펄스 상승하는 가능성(아래 그림에서 파란색 점선 경로)이 존재하기 때문에 러닝플랫형 패턴이 완성되는 30060달러에 숏 포지션의 절반을 수익실현하고 절반은 홀딩하고 있습니다.

그림은 필자가 이전 글에서 예측한 비트코인의 하락 예상 경로입니다. 31800달러에 에 약한 저항대가 표시되어 있고, 가격이 크게 상승하는 파란색 점선경로나 가격이 하락하는 초록색 점선경로나 고점을 한 번 갱신한 이후에는 최소 5%의 조정을 할 것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한 비트코인 단기적 관점

절반을 홀딩하는 이유는, 필자가 중기적으로 그리고 있는 대형의 러닝플랫형 패턴(위 그림에서 초록색 경로)의 가능성이 남아있기 때문이며, 절반의 물량을 수익실현으로 마감했기 때문에 재차 상승해서 수익이 줄어들더라도 손해는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위 그림에서 파란색 점선경로와 같이 작은 러닝플랫형 패턴 이후 큰 상승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니 단기적 러닝플랫 패턴이 완성되는 시점에서 매수하는 전략도 가능은 하지만, 확률이 낮다고 생각하여 이 전략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확률을 높게 평가하는 초록색 점선경로대로 진행되지 않고 상승한다면, 전고점인 31.8k를 돌파할 때 추세추종매매를 할 예정입니다.

 

비트코인 중기적 관점

 

중, 장기적 관점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했으니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단기적인 흐름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최소한 26k 부근까지 하락할 확률에 무게를 싣고 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은 필자가 이전 글에서 예상한 러닝 플랫 패턴으로 단기적인 움직임이 진행될 경우를 그려낸 것입니다. 이때 가격이 잠재적으로 반전할 수 있는 구간(PRZ)는 31.8k의 가격대이며, 이 예측이 틀리는 기준은 가격이 32.6k를 임펄스로 넘어서는 것이라고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분석한 비트코인 장기적 관점


만약 현재 가격에서 전고점을 갱신하며 정말 큰 추세 상승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29500달러의 가격을 깨지 않고 상승해야 합니다. 즉, 현재 구간이 러닝플랫형 패턴으로 확정되면서 임펄스의 2파 조정이 되어야 하는데, A파 저점인 29500달러를 C파 저점이 깨서는 안 됩니다.

A파 저점을 C파 저점이 깨는 확장형 조정패턴이 나오고 임펄스로 상승할 수는 있지만, 확률이 낮다고 평가하기 때문에 러닝플랫형 패턴을 기준으로 장기적인 방향성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림은 필자가 현재 차트의 진행 모습을 통해 러닝플랫형 패턴 이후 임펄스로 상승할 확률은 없어졌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러닝플랫형이기 위해서는 그림에서 표시한 A파의 저점을 C파의 저점이 갱신하지 못하고 지지되어야 하는데 이 저점이 깨지면서 러닝플랫형은 불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단기차트와 러닝플랫형 패턴의 조건

이런 기준 하에서 현재의 차트를 보면 바이낸스 현물 차트는, 29500달러에 거의 근접한 29512달러까지 가격이 하락했으며 선물은 이미 29500달러를 하락돌파했습니다. 따라서, '러닝플랫형 패턴 이후 임펄스 상승'이라는 확률이 2번째로 높은 관점은 폐기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남은 가능성은 26k까지의 중기적 하락 이후 상승으로 집중됩니다. 이미 31.8k에서 공매도전략을 취한 입장에서는 앞으로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든 상관이 없지만 여전히 하락에 무게를 싣고 있습니다.

이후에 가격이 하락하여 26k 부근에 온다면, 현물과 선물 모두 매수할 것 같습니다.


절대 특정 주식이나, 코인, 상품 등에 대한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제 주관적 분석을 통해 매수/매도 결정을 하는 것이 아닌 공부를 위한 자료로 활용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