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목표가격 시세전망
◆ 비트코인 가격 하락 이유
현물 ETF 승인 이후 비트코인 가격은 꾸준히 하락하고 있습니다. 고점으로부터 10일 만에 17%나 하락한 상황입니다. 필자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전후로 꾸준히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언급드렸습니다. 지난 1년간의 상승이 임펄스 충격파동이든, ABC패턴이든 공통적으로 저항을 받고 하락할 자리였기 때문입니다.
비트코인 현물ETF 승인의 의미, 비트코인 가격 시세 전망
얼마 전 암호화폐 업계에 엄청난 이슈가 있었죠. 바로 비트코인 현물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 ETF 상품 출시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승인한 것입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bullyuppie.tistory.com
그러나, 단기간 비트코인은 고점으로부터의 하락 파동이 확실한 임펄스 파동이라는 점을 근거로 당분간 매수하는 전략이 합리적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처음에는 쌍바닥 패턴을 예상했지만, 가격이 더 많이 떨어지면서 작은 웻지패턴을 만들었습니다. 필자도 이 웻지패턴을 근거로 바닥에서 매수하여 수익을 보았습니다.
그러나, 이전 포스팅 마지막 단락에서 가격이 추가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을 언급드렸었습니다. 이유는, 하락한 임펄스 파동의 크기에 비해서 웻지의 크기가 너무 작다는 것이었습니다.
![]() |
그 상대적인 크기가 적절한지 판단하는 기준은 필자의 통계에 따른 것입니다. 트레이더들은 명시적으로 패턴에 대한 승률과 발생빈도를 연구하기도 하지만, 묵시적으로 감에 의존하는 트레이딩을 하기도 합니다.
필자의 통계와 감에 따라 이전의 웻지패턴은 충분한 상승모멘텀을 형성하기에는 부족한 사이즈였고 가격이 추가하락하면서 더 큰 웻지 패턴을 만들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롱 포지션을 전부 청산하고 숏 포지션으로 전환하면서 하락 폭에 대한 수익도 보았습니다. 비트코인은 롱 포지션을 쌓을 예정이었기 때문에 이더리움 선물 상품에 숏 포지션을 들어갔습니다.
※ 그림은 100배 레버리지로 설정되어 있지만, 실제로 이 정도 레버리지로 절대 거래하지 않습니다. 선물자산 7배 정도 진입했고 한국시간 1월 22일 새벽부터 가격이 하락하면서 수익실현까지 완료한 상황입니다.
결과적으로 한 주 동안 아래와 같은 순서로 트레이딩 했습니다. 적은 변동성 하에서 어떤 근거를 가지고 매수/매도를 반복하면서 수익을 볼 수 있었는지에 주목하시면 되겠습니다.
※ 이전 포스팅 읽어보시면 순서대로 나옵니다. 아직 전역 전이라 거래 내역을 올릴 수 없네요. 전역하면 이런 부분들까지 상세히 공개해 보겠습니다.
1. 41480 롱 진입, 42100 약손절 / 진입근거 - 더블바텀패턴 예상, 손절근거 - 더블바텀패턴의 잠재반전구간 하락돌파
2. 40430 롱 진입, 41600 수익실현 / 진입근거 - 작은 웻지패턴 발생, 익절근거 - 상승모멘텀 부족으로 추가하락 가능성 높음
3. 2와 동시에 이더리움 공매도(숏) 진입 / 진입 근거 - 위와 연결됨, 익절근거 - 저점 갱신으로 목표 도달
◆ 비트코인 목표가격 시세전망
저점이 완전히 만들어진 것인가? 하는 부분은 여전히 의문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한국시간 1월 22일 19:00 이후에 나오고 있는 반등이 진짜 반등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위와 같이 추세선을 대충 그으면 웻지패턴이 맞아 보입니다. 웻지패턴이 맞아서 기대하는 반등이 나올 수도 있겠지만, 필자의 기준하에서 매수할 근거는 되지 못합니다.
강한 상승 모멘텀을 위해서는 웻지 패턴이 명확하게 만들어져야 하고, 마지막 저점이 뚜렷하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아직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어느 정도 감에 의존한 판단이긴 합니다만, 지금까지는 대부분 맞았던 것 같습니다.
지금의 단기간 반등이 이어져서 상승하더라도 41700불에는 장기이동평균선과 매물대 저항이 걸리는 자리이기 때문에 저점을 한 번 더 만드는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단기 트레이딩에 집중하신다면 41700불 돌파 여부를 중요하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웻지패턴이 만들어진다면 강한 상승 모멘텀이 발생할 테니, 44000~45000불을 목표가로 매수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