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11일, 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을 발표하면서 비트코인 시장에 새로운 역학관계가 만들어졌습니다. 기존에 개인 위주로 움직이던 시장에 기관투자자들의 자금이 대량유입될 것으로 기대되었기 때문이죠.
그러나, 막상 비트코인 가격은 고점으로부터 17%나 하락하면서 ETF 승인이라는 호재가 발생한 것과 역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필자는, 이전 포스팅들에서 꾸준히 ETF 승인이 가격 상승을 추가적으로 견인할 수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ETF 승인이 가시화되면서 ETF 신청서를 낸 자산운용사들은, 기초자산인 비트코인 현물을 작년 하반기에 매집하였고, 당분간은 ETF 상품을 구성하기 위한 비트코인 현물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또, 2021년 비트코인 선물 ETF 승인 이후에도 가격이 70% 이상 하락했던 역사를 근거로 들기도 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트코인 차트를 근거로 향후 시세를 전망해 보고 비트코인 도미넌스를 보면서 2017년, 2021년과 같은 알트코인 시장이 언제쯤 올 수 있을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비트코인 시세 전망, 차트 분석
◆ 비트코인 장기 시세 전망
2022년부터 시작된 비트코인 가격의 상승추세는 분명히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77% 하락한 폭에 대한 상승조정이었습니다. 그리고 필자는, 이 상승조정 파동을 엘리엇파동이론 상 ABC패턴으로 볼 것이냐 임펄스로 볼 것이냐에 대해 꾸준히 의문을 제기해 왔고 확실한 것은 없다고 말씀드려 왔습니다.
비트코인 현물ETF 승인의 의미, 비트코인 가격 시세 전망
얼마 전 암호화폐 업계에 엄청난 이슈가 있었죠. 바로 비트코인 현물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 ETF 상품 출시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승인한 것입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bullyuppie.tistory.com
해당 파동을 임펄스로 볼 경우, 수개월간의 보합권 이후에 추세 상승을 한 번 더 하고 여기서부터 본격적인 가격 하락이 발생할 것입니다. 해당 파동을 ABC패턴으로 볼 경우, 2024년 1월의 고점을 기준으로 본격적인 가격 하락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장기 관점이 완전히 틀려진다는 점에서 신중했었습니다.
그러나, 두 관점 중 어느 관점이 정답인지와는 무관하게, 단기간 조정이 발생할 것은 확실하니 공매도 전략을 꾸준히 언급했었고 실제로 공매도 포지션을 구축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모습들은 지금까지의 상승 파동이 ABC 패턴일 확률을 높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분간 2024년 1월의 고점을 돌파하기는 힘들다는 관점을 전제로 트레이딩에 임할 계획입니다.
제 분석이 맞다면, 비트코인 가격은 올해 상반기에 꾸준히 하락해서 매물대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30000달러 부근까지 하락할 것입니다.
이번 조정이 정확히 언제 끝날지는 이후 파동의 모습을 봐야 결정할 수 있지만 러프하게 장기 이동평균선의 데드크로스가 발생하는 것이 기준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가격이 하락했고, 비트코인 주봉 차트에서 20일선과 40일선이 데드크로스되었습니다. 이 데드크로스는 직전의 골든크로스 이후 2년 만에 만들어진 것으로, 하나의 추세를 식별하게 해 줍니다.
이 하락추세가 종결되었음은 2023년 4월 경에 골든크로스가 발생하면서 확정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의 조정이 끝났음을 알기 위해서는 해당 이동평균선들이 데드크로스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전에 주가는 추세 상승을 할 수가 없습니다.
해당 이동평균선들이 데드크로스되고, 파동 상 유효한 조정패턴이 식별되면 다시 상승 추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열립니다. 2021년의 역사적 고점을 뛰어넘을지는 확신 못하지만, 6만 달러 수준까지는 상승할 테니 좋은 매수기회가 될 것입니다.
장기 차트에 대한 분석은 이 정도로 마무리하고, 단기 차트에 집중해 보겠습니다.
◆ 비트코인 단기 시세 전망
직전 비트코인 단기 관점 포스팅을 보면, 아래와 같은 분석을 말씀드렸습니다.
- 1월 11일 고점으로부터 확실한 형태의 하락 임펄스파동이 발생했으니, 상승조정이 발생할 것.
- 상승조정이 발생해야 하는 시점이지만, 캔들의 모양으로 봐서는 저점이 한 번 더 갱신될 가능성이 높음.
- 그러니 쌍바닥 패턴을 만들고 반등할 확률이 높음. 따라서, 저점을 갱신하면 롱 포지션 구축.
그러나, 실제 차트는 필자가 예상했던 잠재반전구간인 41400달러 부근보다 2.5%가량 추가 하락했고, 필자도 2% 선에서 롱 포지션을 손절마감했습니다.
관망을 하던 중, 저점을 한 번 더 깨는 흐름이 발생했고 단기적으로 임펄스 모양이 갖추어졌다는 점, 반등할 확률이 높은 하락쐐기형 패턴이 만들어졌다는 점을 근거로 파란색 임펄스 파동의 연장으로 분석하고 40400불에서 다시 롱 포지션을 들어간 후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차트를 뒤집어서 보면 조금 확실해 보이죠.
![]() |
![]() |
이번 반등이 어디까지 갈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는 44k 부근까지 반등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44k 언저리에서 파동의 모습을 보고 수익실현을 할 것 같고 사실 절반은 수익실현한 상태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해도 손해보지 않는 구조를 만들어 둔 상황입니다.
그런데, 연장된 임펄스 파동이라고 보기에는, 웻지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찝찝한 점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저점을 몇 번 더 갱신하면서 더 큰 하락쐐기형 패턴(Falling Wedge pattern)을 만들어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가격이 하락할 것이기 때문에 숏 포지션을 구축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하지만 단기간 패턴에 의해 반등할 자리가 보이기 때문에, 롱 포지션을 시도하는 것일 뿐 장기적으로는 숏 포지션이 유리함을 강조드리는 바입니다.
필자의 포스팅을 꾸준히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비트코인에서만큼은 포지션을 수 개월간 보유하는 스윙방식의 거래를 선호합니다. 그러나 1월 11일(최고점) 즈음에 휴가를 가 있다가 좋은 평단가에서 숏 포지션을 잡지 못했고, 이후에 좋은 자리가 나올 때까지 단타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빨리 장기 베팅 자리가 나왔으면 합니다... 바빠서 신경쓰기 힘드네요 ㅜㅜㅜ
비트코인 도미넌스 전망과 알트코인 시장
현재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52% 수준입니다. 암호화폐 시장 자금의 절반이 비트코인에 있다는 것이죠.
비트코인 도미넌스를 분석하는 이유는 한 가지, 알트코인 시장이 도래할 것인지 여부를 알기 위함입니다. 역사적으로 알트코인 시장은 2017년 말, 2021년 초에 발생했었고 이 때는 매일 수 백, 수 천% 상승하는 알트코인이 나왔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 도미넌스의 방향성은 알 방법이 없습니다. 도미넌스 차트는 변동성이 크지 않아 표본이 없기 때문에 패턴을 찾고 통계를 얻어서 백테스팅할 수가 없죠. 그래서, 비트코인 도미넌스와 알트코인 시장 도래에는 상관관계만 있을 뿐 인과관계는 없습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하락하는 것은 비트코인 가격이 폭락하거나 비트코인 가격은 유지된 채 알트코인 시장이 도래되는 것 두 가지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비트코인 도미넌스의 방향성을 맞춰도 알트코인 시장의 도래를 맞출 확률은 산술적으로 50%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알트코인 시장이 와서 아무거나 사도 돈을 벌 수 있는 장세는 언제 올지 알 수 없으며, 온다면 그 시점을 개별 차트 분석을 통해서 알아낼 수 있습니다. 개별 차트에서 매집봉이 대거 발생하고, 이평선을 정배열로 맞추어 놓고, 추세 상승을 위한 패턴들을 만들어두겠죠.
그러니, 알트코인에서 요행을 바라지 마시고 개별주식이나 비트코인에 대한 분석, 공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구조를 만드시기 바랍니다. 물고기를 잡는 것보다, 물고기 잡는 법을 배워가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