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더리움 시세전망 및 차트분석

최근 비트코인 시세가 크게 상승하여 44000달러 수준까지 상승하였습니다. 현재는 42000달러 수준에서 조정을 받고 있는 모습이며, 필자는 이번 포스팅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상승 사이클을 분석하고 어느 시점에서 조정을 받을지, 합리적인 매수 가격은 어디쯤인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많은 블로거들이 이번 상승을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이슈와 연관 짓습니다. 블랙록, 피델리티 등 대형 자산운용사에서 신청한 비트코인 현물 ETF에 대해 SEC가 긍정적인 반응을 내비쳤다는 기사가 쏟아졌다는 것이죠.

하지만 이전에 필자가 언급했듯, 비트코인 현물 ETF 이슈는 매년 반복되어 왔던 이슈입니다. 하지만, 비트코인 가격상승에는 그보다 본질적인 이유가 존재합니다. 그저, 비트코인이 상승해야만 하는 상승사이클의 초입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를 분석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필자는 지난 6월부터 비트코인의 큰 상승을 예견했고, 차트의 구체적인 흐름까지 맞추었으며, 기회비용을 최소화하는 트레이딩을 할 수 있었습니다. 최적의 시점에 매수해서, 최적의 가격에 매도했다는 의미입니다.
 
이 분석 덕분에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이 이슈화되기 전인 25000달러 수준에서 비트코인을 매수했고 2개월 만에 모든 포지션을 정리하면서 현, 선물 도합 150% 이상의 수익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웃기게도, 제가 비트코인을 매도한 38k 이후부터 ETF 이슈가 붉어지더니 많은 투자자들이 이제야 추격매수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래 링크된 포스팅부터 해서, 필자가 지난 6~7월경에 포스팅한 비트코인 분석글을 살펴보시면 어떤 의미인지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본론으로 가기 전에 한 번씩 읽어보시면 도움 되실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6. 비트코인 차트분석 : 50%의 상승을 예측했던 이유

현재 비트코인은 23년 4월부터 7월까지의 조정을 끝낸 26k 부근부터 36k까지 크게 상승한 상황입니다. 제가 말씀드린 매수타점 26k부터 50% 가까이 상승했으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상승을 예측했던

bullyuppie.tistory.com


비트코인 시세전망

 
◆ 장기적 관점
 
먼저 비트코인 차트의 큰 흐름을 보고 시작하겠습니다. 비트코인은 21년 말경 68k의 역사적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미 연준으로부터 시작된 전 세계적인 금리인상 기조와 장기적 사이클의 마무리를 이유로 16000달러까지 가격이 크게 하락했습니다.

이 하락하는 흐름이 엘리엇파동이론 상 ABC파동이었고 이 파동이 마무리되면서 추세반전될 가격이 18k부근이었기 때문에 22년 말에 만들어진 16k의 저점은 분명히 매력적인 매수구간이었습니다. 이후에는 68k부터 16k까지 80% 가까이 떨어진 구간을 되돌리는 상승조정이 만들어질 것이기 때문에 이 상승조정만 수익화해도 많은 수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etc-image-0

 
실제로 비트코인은 지난 1년간 크게 상승하여 현재는 44k까지 가격을 되돌린 모습입니다. 저희가 관심 있게 봐야 할 부분은 16k부터 48k까지의 상승이 ABC파동이었는지, 임펄스파동(의 일부)이었는지 하는 부분입니다.

ABC파동은 크게 3개의 움직임으로 구분되는 파동이고, 임펄스파동은 크게 5개의 움직임으로 구분되는 파동인데 필자는 전자의 가능성을 높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으며, 어떤 관점이 맞느냐와는 무관하게 수익화할 수 있는 구간이 존재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서 해당 포스팅을 읽으시면 되겠습니다.
 
◆ 임펄스 상승파동이 여전히 진행 중인 경우
 
먼저 상승구간을 임펄스파동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임펄스파동은 5개의 파동으로 구분되는 파동입니다. 따라서 합리적인 분류는 이렇습니다.

etc-image-1

1파 : 저점으로 시작된 주황색 abc파동
2파 : 붉은색 러닝플랫 abc파동
3파 : 현재 진행 중인 파동
4파 : (시작되지도 않음)
5파 : (시작되지도 않음)
 
만약 이 분류가 맞다면 아직 3파가 한참 진행 중인 것이며, 엘리엇 파동 3파는 1파보다 훨씬 긴 파동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적어도 50k까지 3파가 만들어질 것이며 4파 조정 이후에 한번 더 5파 상승을 할 테니, 비트코인의 역사적 최고점 68k 근방까지 24년도 중에 도달할 것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필자는 이 때문에, 이 관점의 확률을 낮게 평가합니다. 현재 가격인 40k부터 69k까지는 비트코인이 과거 2년 동안 매물대를 형성한 가격대이기 때문에 이 매물대를 큰 조정 없는 단일 파동으로 뚫어낼 확률이 정말 낮습니다. 나스닥 같은 지수 차트라면 이해하겠지만 비트코인 개별종목에서 이 정도의 급한 상승이 나오는 것을 목격한 것은 코로나 때의 상승장이 유일합니다.
 
그리고 이 관점이 아니길 바라고 있습니다. 필자는 아래에서 소개할 ABC관점의 확률을 높게 평가하고, 18k~25k에 매수한 모든 비트코인 물량을 38k에 정리했기 때문에 최근에는 계속 손가락만 빨고 있습니다. 이 관점대로라면 공매도할 자리는 없을 것이며, 매수할 자리도 쉽게 주지 않을 것이니 트레이딩 하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이 관점대로 진행되지 않기를 바라는 Wishiful Thinking일 수 있지만 이 가능성이 0이 아님을 꾸준히 상기하고는 있습니다. 이 관점이 맞다면 전업투자자가 아님을 다행으로 여겨야겠지요...
 
* 1파가 abc파동인 위 분류를 보고 욕하실 분들이 분명히 있을 텐데, 아래 포스팅에 '비트코인 차트에 대한 실증적 통계'를 근거로 이것이 가능하며, 이 분류가 오히려 통계적 우위를 지닌다고 설명드렸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엘리엇파동이론 : 21세기 버전

엘리엇파동이론은 1930년대에 탄생한 이론으로, 현대로 오면서 인간의 심리특성이 바뀌지는 않았기 때문에 이론의 틀은 유지가 되지만 거시경제, 경제정책 등의 측면에서 너무나 많은 차이가 있

bullyuppie.tistory.com

 
 

◆ 상승파동이 ABC인 경우

 
다음으로, 상승구간을 ABC파동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러면 조금 더 합리적이라는 느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관점에 따른 파동의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etc-image-2

 
A파 : 저점으로 시작된 주황색 abc파동
B파 : 붉은색 러닝플랫 abc파동
C파 : 현재 진행 중인 파동, 조만간 완료될 것.
 
이 분류가 맞다면, C파는 조만간 마무리되고 약 1년간의 상승구간을 조정하는 조정이 발생할 것입니다. 조정의 기간은 1년 정도가 될 것이며, 최소한 32k 수평매물대 수준까지는 가격적 조정이 발생할 것입니다.

C파의 고점이 몇 달러 일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 관점대로라면 조만간 상승이 완결되고 큰 하락추세로 꺾이겠지만, 정확한 고점을 예측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 생각하기에 굳이 예측하려 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고점을 예측하기 위해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는 것보다는, 고점이 완성된 이후에 트레이딩 하는 것이 마음 편하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필자는 이 관점의 가능성을 전자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앞서 설명드린 이유이며, 이평선 등 부차적인 이유가 있긴 하지만 모두 공개하지는 않겠습니다.
 
 

◆ 공매도는 정말 위험하고, 매수하는 것도 위험하다.

 
가격의 방향성과 무관하게 현재 자리에서 매수, 매도 결정을 내리는 것은 위험합니다. 큰 하락과, 큰 상승을 예측하는 위의 두 관점의 확률 차이가 크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현재 자리에서 장기적 베팅을 들어가는 것은 도박에 가깝습니다.
 
상승추세가 강했기 때문에, 하락추세로 돌아서는 데에는 시간이 걸립니다. 주가의 흐름에도 관성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당장에 공매도할 자리는 없습니다. 조금 더 시간이 지나고 이평선의 이격도가 좁혀지면 그때 가서야, 두 번째 관점에 의한 공매도 자리가 생깁니다.

etc-image-3

 
첫 번째 관점대로 진행된다면, 앞으로의 상승은 지금까지의 상승보다 더 강한 상승일 것이기 때문에 손절대응을 하기도 힘들 것입니다. 그러니 현재 자리에서 공매도는 정말 위험하고, 확실한 근거가 있지 않다면 생각조차 하지 않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 관점대로 진행돼서 가격이 하락한다면 가격이 단기간에 빠르게 하락하진 않을 것입니다. 오랜 기간에 걸쳐서 위에서 언급한 32k 수준까지 떨어질 것입니다. 현물로 매수한다면 큰 하락세가 아니라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하락의 폭보다 자금이 물려 있는 기간이 문제입니다.

현재 구간에서 매수해서 손절대응을 하지 않으면 길게는 1년 가까이 자금을 묻어둬야 할 텐데, 이는 그 자금을 다른 곳에 사용하지 못함으로 인한 기회비용을 그대로 안게 될 것입니다.

그러니 명확한 기준이 없다면, 현재 구간에서 매수하지도 말고 공매도하지 않기를 추천합니다. 가격이 다시금 크게 상승한다고 해서 아쉬워할 것 없고, 다른 투자처를 찾으면 됩니다. 금리 인하 이슈가 현실화된다면 주식, 부동산 등 다른 좋은 투자처가 많을 테니 굳이 코인에 투자하실 이유도 없을 겁니다.
 
 

◆ 비트코인 단기적 관점

 
위의 단락에서 비트코인에 장기적 포지션을 가져가기엔 위험한 이유에 대해 충분히 설명드렸습니다. 그러니, 굳이 비트코인에 투자하고 싶다면 단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하시면 됩니다. 손절도 짧게 가져가고, 수익도 짧게 가져가면서 발 빠르게 대응하는 것입니다.

단기적인 트레이딩을 한다면, 필자가 생각하기에 합리적인 포지션은 하나 정도 있습니다. 이전처럼 구체적인 타점은 공개하지 않고 힌트만 드려보겠습니다. 필자의 포스팅을 꾸준히 구독하신 분들이라면 대강의 위치는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1. 최근의 고점 44.7k는 갱신될 확률이 높다.
  2. 현재의 단기적 상승세를 동력으로 첫 번째 관점의 임펄스파동이 만들어지기에는 조정이 너무 없었다.
  3. 그러니 첫 번째 관점대로 진행되더라도 최소한의 조정이 발생할 것이다.
  4. 두 번째 관점대로 진행된다면, 장기적 하락 추세로 돌아설 테니 역시나 조정이 발생할 것이다.
  5. 두 가지 관점 모두 단기적으로는 조정을 한다는 사실을 공유한다. 그러니, 이에 맞추어 짧은 손, 익절라인을 두고 공매도를 시도한다.

 
결국에는 (특정 기준을 충족하면) 공매도를 시도한다는 것인데, 위에서 설명했듯 현재 자리에서 공매도는 굉장히 위험합니다. 그리고 현재 가격인 42.8k에서 공매도한다는 것은 더더욱 아닙니다. 어떠한 기준을 충족해야 시도할 수 있다는 것인데, 어떤 의미인지는 제 글을 많이 읽어보셔야 감이 오실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타점, 타이밍을 알고 싶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