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부터 19일 전인 7월 12일에 유니퀘스트(077500) 단타전략을 소개드렸습니다. 당시에는 엘리엇 파동이론 상 임펄스 3파가 겨우 완성된 시점이었고, 임펄스 5파 상승을 기대하고 4파 조정이 완성되는 시점에서 매수하여 3파 고점을 갱신할 때 매도하는 전략이었습니다.
7월 12일에 정확히 14100원에 매수, 17700원에 매도를 추천드렸습니다. 결과적으로 4파의 꼬리가 14000원까지 내려오면서 0.7%의 오차로 매수주문이 체결되었으며, 7월 31일인 오늘 오전장에 17800원에까지 상승하면서 0.5%의 오차로 매도주문까지 완벽하게 체결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매수/매도 타점까지 완벽했으며 7월 26일에 체결된 주문이 7월 31일에 매도되면서 5일 동안 25.5%의 수익과 함께 기회비용까지 줄일 수 있었던 성공적인 전략이었습니다.
▼유니퀘스트(077500) 상승예측 포스팅▼
테마주5. 유니퀘스트 시세/전망 차트분석 (077500)
테마주5. 유니퀘스트 시세/전망 차트분석 (077500)
유니퀘스트(077500) 차트분석 이번 포스팅에서 분석할 종목은 유니퀘스트입니다. 유니퀘스트는 코스피에 상장된 시가총액 4000억의 비메모리 반도체 솔루션 관련 기업입니다. 2021년 1월 이후로 꾸
bullyuppie.tistory.com
유니퀘스트(077500) 시세/전망 분석
이전 포스팅에서 유니퀘스트의 상승을 예측했던 근거는 아래 그림과 같이 3파까지 나온 시점에서, 4파 조정을 확인하고 5파 상승을 수익화하자는 것이었습니다. 그에 따라 이평선 이격도와 매물대, 파동이론을 조합해 14100원의 매수가와 17700원의 매도가를 추천드렸습니다.
현재는 위의 그림과 같이 23년 5월부터 시작된 임펄스 상승파동이 완료된 것으로 보입니다. 금일 만들어진 17800원의 고점이 한두 번 정도 갱신될 수 있겠지만, 상승추세를 위한 고점돌파는 아닐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주가가 다시 상승하더라도 최소한 두 달가량은 조정을 해야 재차 상승할 힘이 생긴다고 봅니다.
즉, 현재 구간에서 고점을 넘기지 못한 채 시간적으로든 가격적으로든 23년 5월부터 현재까지 만들어진 임펄스파동에 대한 조정을 할 확률이 우세합니다.
향후 유니퀘스트 주가에 대한 전망은 두 가지로 보고 있습니다.
- 관점 1 : 단기적인 조정 후 재차 상승
첫 번째 관점은 이전 글에서 언급한 첫 번째 관점과 동일합니다. 이 관점은 22년 10월 저점으로부터 23년 3월까지의 상승을 메이저 임펄스파동의 1파, 23년 5월부터 7월까지의 상승을 메이저 임펄스파동의 3파로 생각하는 관점입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필자가 현대 시장에 맞추어 교정한 엘리엇 파동이론 상 1파는 임펄스가 아니어도 되기 때문입니다. 22년 10월부터 23년 3월까지의 상승은, 파동이론 상으로는 분명히 abc파동이지만 이것이 임펄스의 1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관점의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교정된 파동이론 포스팅▼
엘리엇파동이론 : 21세기 버전
엘리엇파동이론은 1930년대에 탄생한 이론으로, 현대로 오면서 인간의 심리특성이 바뀌지는 않았기 때문에 이론의 틀은 유지가 되지만 거시경제, 경제정책 등의 측면에서 너무나 많은 차이가 있
bullyuppie.tistory.com
이 관점대로 진행되기 위한 조건은, 가격적으로 크게 조정하지 않은 채 올해 연말까지 보합권에서 수렴형 조정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는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한 관점 1과 연계되어, 내년 초쯤에 메이저 임펄스의 마지막 5파 상승을 수익화할 수 있는 스윙전략이 가능할 것입니다.
- 관점 2 : 장기적인 조정에 돌입
두 번째 관점은 주가가 현재 가격대에서 줄곧 하락하여 장기적인 조정에 돌입하는 것입니다. 이 관점은 22년 10월부터 23년 3월까지의 상승파동을 A파, 23년 3월부터 5월까지 하락파동을 B파, 23년 5월부터 7월까지 임펄스 상승을 C파로 분석하는 관점에 해당합니다.
즉, 3-3-5 ABC 상승조정파동이 완결되었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그렇다면 주가는 아래 그림과 같이 12300원이라는 지지선도 하락돌파하면서 주가가 9000원 정도까지 하락할 것이며, 큰 상승이 나오기 위해서는 24년이 넘어서야 만들어질 것입니다.
이렇게 진행되기 위한 조건은, 궁극적으로는 12300원의 가격을 하락돌파하는 것이지만(임펄스파동 핵심 기준) 관점 1에서 설명한 고가에서의 보합권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단기적으로 가격이 빠르게 하락하는 것입니다.
즉, 14000~15000원의 가격대에서 시간적으로 길게 끌면서 조정하는 것이 아닌, 가격적으로 크게 하락하는 조정이 만들어지면 관점 2처럼 진행될 확률이 높다고 봐야 됩니다.
필자는 두 관점 모두 확률이 비슷하다고 생각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관점 2의 확률을 조금 더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비트코인과 많은 주식 단타 종목들에서 예상이 적중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이번 전략은 깔끔한 임펄스가 만들어지면서 매수타점과 매도타점까지 완벽히 맞아떨어진 경우에 해당합니다.
블로그를 보시는 많은 분들께서, 선 긋기 따위나 하는 기술적 분석으로 돈 벌 수 있는지 궁금해하십니다.
하지만 포스팅을 꾸준히 보시면 대부분 맞는 분석만 하고 있다는 점을 통해 차트분석을 통해 돈 버는 것이 가능하다 정도는 느끼실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사실 저는 차트에 추세선 따위는 긋지 않습니다)
그 정도면 글을 읽으시는 독자님들께서 제 블로그의 의도를 충분히 이해하시고, 많은 것을 얻어가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나 인사이트를 얻고 싶으시다면, 댓글에 비즈니스 문의 남겨주시면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