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목표 주가전망

양극재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이차전지 제작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입니다. 에코프로그룹은 양극재 사업에서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하며, 계열사들도 에코프로비엠의 양극재 생산을 지원하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양극재 원료인 전구체를 생산하고, 에코프로비엠은 조달받은 전구체로 양극재를 생산하여 삼성 SDI와 같은 배터리 제작 업체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는 지주회사로, 사업 전반을 관장하는 역할만 합니다.

에코프로 계열사를 비롯한 국내 양극재 업체들의 주가는 펀더멘탈을 과도하게 상회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에 있다는 사실에 동의합니다.

따라서, 당분간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은 장기투자보다는 단기트레이딩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주가가 반등할 위치를 기술적 분석을 근거로 예측해보고자 합니다.

 

에코프로 목표 주가전망

 

필자의 이전 에코프로 주가 분석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재 가격인 66만 원 수준은 절대 저점이 될 수 없음
  2. 따라서 최소 54만 원 수준까지 주가는 하락할 것
  3. 하지만 54만 원은 주가가 반등할 수 있는 잠재반전구간임
  4. 그러니 주가가 하락하는 것을 기다렸다가 손절규칙을 동반해 54만 원에 매수하는 것이 합리적임

 

필자가 주가 하락 이후의 반등을 예상했던 이유는, 저점을 깨고 나면 더블바텀 패턴이나 러닝플랫 패턴으로 상승모멘텀을 받으며 상승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23년 10월 30일에 만들어진 59만 원의 저점을 하락 돌파하여 잠재반전가격에 도달하면 빠르게 반등할 테니 매수하는 것이 전략이었습니다.

하지만, 에코프로는 잠재반전가격에서 반등하지 못하고 손절가격에 도달해 버렸기 때문에 기존의 관점은 폐기되었습니다.

2023년-12월에-작성한-에코프로-주가차트에-대한-분석
에코프로 주가전망에 대한 기존 분석


그리고, 이전 포스팅을 읽어보셨다면 주가가 단기간 하락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도 보셨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지수이동평균선의 20주 선과 40주 선이 데드크로스되는 것이 2023년 8월부터 시작된 하락 조정의 필요조건이었기 때문입니다.

조정이란, 추세가 만들어지면서 이격 된 이동평균선을 좁히는 과정이기 때문에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조정의 완결을 예측하는 것은 나스닥, 코스피 등 지수차트뿐만 아니라 개별종목에도 높은 확률로 적중하는 방법론입니다.

그러나 에코프로의 주가는 예상보다 빨리 하락하면서, 지수이동평균선의 데드크로스가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보기보다 이격도가 커서 아직 이격도를 좁히는 데에 시간이 더 필요한 것 같습니다.

etc-image-1
에코프로 주가가 반등하기 위한 조건


따라서 데드크로스가 발생할 때까지 주가가 추가 하락할 확률이 높은데, 이는 반등이 발생하기 위한 필요조건이기도 합니다.

주가는 40만 원 선에서 160주 이동평균선의 지지를 받긴 하지만, 필자는 이평선의 지지를 매수 매도의 근거로 삼지 않습니다. 적중할 확률이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에코프로는 54만 원에서 반등하지 못하고 하락한 이상, 매수할 구간은 당분간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후의 매수는, 시간이 한참 지나서 파동이론, 추세 저항 등이 뒷받침될 때 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필요합니다.

어쩌다 주가가 반등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자리에서 투자하다는 것은 도박이나 다름없습니다. 이런 투자는 한 번은 먹을 수 있어도, 반복하다 보면 깡통 차기 십상이기 때문에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에코프로비엠 목표 주가전망

 

에코프로비엠의 주가전망은 에코프로보다는 긍정적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에코프로의 반등을 예상했던 근거와 동일하게, 쌍바닥 또는 러닝플랫 패턴에 의한 상승 모멘텀이 작용하여 반등할 수 있는 구간이 식별되기 때문입니다.

에코프로그룹의 매출 대부분이 발생하는 핵심 계열사인 에코프로비엠이 물적분할되었기 때문에 에코프로그룹의 양극재 사업 펀더멘탈은 에코프로비엠이 가지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따라서, 양극재 업황이 개선되면 에코프로보다 에코프로비엠의 주가가 선행적으로 반응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하에서 볼 에코프로비엠의 기술적 분석과도 연계되는 부분입니다.

에코프로비엠-주가-차트와-쌍바닥-패턴에-의해-주가가-반등할-잠재반전가격
에코프로비엠 주가전망

 

에코프로비엠 차트를 분석해 보면, 조정이 시작된 23년 7월부터 23년 11월까지 ABC패턴으로 하락했습니다. 이 하락의 종결은 23년 11월부터 12월까지의 작은 abc상승파동으로 인해 확정되었습니다.

엘리엇 파동이론 상 추세에 대한 반등은 항상 충분하게 발생해야 하는데 4개월 간 67%가 하락한 조정의 크기에 비해, 단기간 만들어진 상승파동은 지나치게 규모가 작습니다.

따라서, 23년 11월의 저점이 갱신되면 주가는 반등하여 '충분한 조정'을 이루기 위한 움직임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가가 반등할 수 있는 이유를 추가 설명하기 위해, 향후 주가 움직임에 대한 세 가지 관점을 제시하겠습니다. 이 관점들은 통계 상 1,2,3 순위의 확률을 가지는 관점입니다.

 

  1. 관점 1 : 잠재반전가격에서 더블바텀 패턴의 힘을 받아 반등. 확률적으로 일반적인 경우임.
  2. 관점 2 : 잠재반전가격에서 반등 후, 러닝플랫 패턴을 완성하고 재차 하락. 일반적인 경우임.
  3. 관점 3 : 잠재반전가격에서 반등하지 못하고 추세로 하락. 가장 확률이 낮음.

에코프로비엠-주가-전망에-대한-세-가지-관점-제시
에코프로비엠 주가전망

 

확률이 높은 두 가지 관점이 저점 갱신 후 반등을 예상하고 있으니, 확률적 사고를 하는 트레이더라면 위의 잠재반전가격에서 매수해 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그러나, 낮은 확률을 뚫고 세 번째 관점처럼 진행된다면 주가는 빠르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불가능한 것도 아닌 게, 에코프로비엠은 영업이익, 매출액이 훨씬 높은 해외 양극재 기업들보다 심하게 고평가 되어 있고, 이는 투자자들의 과한 투기에 의한 것이니 일반적인 상식이 통용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주가는 강한 매물대가 존재하는 10만 원 선까지 하락할 테니 잠재반전가격에서 지지를 받지 못한다는 판단이 들면 과감하게 손절해야 합니다.

대략 14만 원이 하락돌파되면 이상의 모든 관점은 폐기되고, 관점 3으로 진행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에코프로비엠 주가는 단기 저점을 하락돌파하며 18만 원 이하로 갈 확률이 높다.
  2. 하지만, 16만 원 정도에서 몇 가지 패턴적 근거에 의해 상승 모멘텀이 발생할 수 있다.
  3. 따라서, 적이한 규칙 하에서 매수를 해보고 손절기준이 하락돌파되면 매도 후 관망한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주가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