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3월 3주차 비트코인 주간 보고서

지난 3월 10일에 작성했던 이전 포스팅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단기간 하락할 확률이 높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실제로, 그 후 비트코인 가격은 USD 76k까지 하락하면서 최초 공매도 보고서를 작성한 USD 91k부터 1주일 동안 15%가량의 급락이 발생했었습니다.

 

월간 비트코인 공매도 보고서를 작성한 이후에, 트위터에서는 꾸준히 실시간 가격 흐름을 반영해서 관점을 업데이트하고었는데요, 이번 주 USD 76k까지 하락이 발생하기 전까지 총 3가지 관점을 포스팅했었습니다. 3가지 관점은 모두 비트코인 가격이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어떤 흐름으로 가격이 하락할지를 따졌고 이는 모두 제가 보유하고 있는 통계와 분석기법에 근거한 것이었습니다.

 

먼저 첫 번째 시나리오입니다. 첫 번째 관점은, 비트코인 가격이 큰 반등없이 크게 하락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관점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근거는, 2024년 11월 경 CME거래소 차트에서 만들어진 USD 78-80k 구간의 CME 갭 때문이었습니다. 보통 CME 갭이 발생하고 난 이후에 이 가격을 통과하게 되면 매우 빠르게 해당 구간을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엄청나게 큰 하락이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차트를 보면 CME 갭을 딱 매우고 반등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시나리오는 폐기된 상황입니다.

etc-image-0
etc-image-1

 

 

두 번째 시나리오는 작은 러닝플랫 패턴 이후 급락이 나온다는 시나리오였습니다. 

 

지난 3월 10일에 트위터에 이 관점을 업데이트하면서, 해당 관점대로 진행되면 80500달러에서 반등이 시작되어 USD 90k까지 상승한 후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었습니다. 이 관점은 실패했지만, 잠재반전구간 PRZ(Possible Reversion Zone)를 USD 80500 수준으로 예측했다는 사실에 주목해 주세요.

 

이 가격은, 러닝플랫패턴의 통계적 반등 위치, 주말 간 CME 갭에 대한 예측, 이평선에 대한 분석을 근거로 반등할 확률이 높다고 예상했던 가격입니다. 동시에, 이 패턴이 성공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이 가격에 롱 거래는 권하지 않고 가격이 USD 90k까지 반등하면 숏 거래를 하는 것이 훨씬 합리적이라고 언급했습니다.

etc-image-2
etc-image-3

 

실제 비트코인 가격은 80037달러에서 4.5%가량 반등하면서, 예상 PRZ였던 80500달러로부터 0.57%의 오차범위에서 잠재 반전구간 식별에는 성공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를 끼고 단타거래를 했다면 단기간에 수익을 볼 수 있을 자리였지만, 저는 이후에 언급할 시나리오 3과 이전에 언급한 시나리오 1의 진행 가능성이 더 높다보고 해당 롱 거래를 추천드리지는 않았습니다.

 

어쨌거나, 제가 사용하는 분석기법이 유용함을 알 수 있는 반등이었습니다.

 

 

제가 제시했던 마지막 시나리오에 대한 업데이트입니다. 트위터에서는 해당 시나리오대로 진행될 확률이 셋 중에서는 가장 낮다고 말했었지만, 현재 차트를 봤을 때는 위의 두 시나리오는 모두 폐기되었고, 이 시나리오대로 진행될 확률이 가장 높아졌습니다.

 

이 시나리오 역시 러닝플랫 패턴에 의한 가격 반등을 예측하는 시나리오입니다. 두 번째 시나리오와의 차이점은, 러닝플랫 패턴의 크기 차이입니다. 마찬가지로, 3월 10일 트위터에서 이 관점을 업데이트하면서 이 시나리오대로 진행될 경우 가격의 잠재반전 구간은 USD 76300로 식별했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세요.

 

실제로 비트코인 가격은 USD 76560에서 반등하면서 제가 예상했던 반전구간인 76300달러로부터 오차범위 0.34% 내에서 반등에 성공했음을 확인했습니다. 시나리오 2의 잠재반전구간을 오차범위 0.57%로 잡아낸 것과 마찬가지로, 제가 사용하는 분석기법이 유용함을 알 수 있는 대목이죠.

etc-image-4
etc-image-5

 

여기까지가 제가 지난주에 작성한 비트코인 가격예측에 대한 피드백입니다. 다음으로, 앞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어떻게 움직일지에 대해 시나리오를 세워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사실, 지금 상황에서 제가 사용하는 분석기법으로 볼 수 있는 관점은 위의 시나리오 3 하나가 유일한 것 같습니다. 때문에 이 시나리오대로 진행되었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만 언급드리겠습니다.

 

일단 단기간 비트코인 가격은 USD 89500 수준까지 상승할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이 가격은 잠재하락반전구간으로써 가격이 다시 하락하기 시작할 확률이 높은 가격입니다. 따라서 해당 가격에서 공매도하고 50-60k까지 수익을 보는 것이 저의 장기적 관점입니다. 

etc-image-6

 

89500달러까지 반등을 생각하는 이유는 역시 CME 갭 때문입니다. 최근에 증시와 비트코인 시장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갭이 정말 자주 발생하고 있는데요, CME거래소 주말 휴장이 시작된 위치는 저번주와 그 전주에 갭이 발생한 위치 하단입니다. 따라서, 주말 간 비트코인 가격이 탈중앙화 거래소(바이낸스, 바이비트 등)를 중심으로 상승한다면 3개의 갭이 연속으로 생기는 상황입니다.

 

이는, 매물대가 약하다는 것을 반증하며 이후에 해당 가격을 통과할 때 가격이 매우 빠르게 변동할 것임을 시사합니다. 동시에, 주말 간 CME 거래소의 눈치를 보지 않고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음을 예견할 수 있기도 합니다. 

etc-image-7

 

또한 위에서 언급한 잠재반전구간은, CME 거래소 차트에서 일봉 이동평균선의 저항을 받는 위치이며 장기적으로 그림의 이동평균선이 데드크로스되어야만 유의미한 반등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그림의 이동평균선이 데드크로스되기 전까지는 가격이 하락할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etc-image-8

 

따라서 가격이 89500달러까지 상승해서 다음 주가 시작된다면 여지없이 가격이 하락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관점은, USD 92k가 상승돌파되지 않음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비트코인 가격이 USD 92k를 강하게 상승돌파한다면 하락관점은 접어두고 관망하면서 새로운 시나리오를 생각해 볼 것 같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 공매도 보고서에서 언급드렸듯이 2년간의 장기적 상승추세가 끝났을 확률이 매우 높다고 생각하여서 언급드린 잠재반전구간에 도달하면 92k를 손절로 잡고 공매도 시도해시길 강력히 권해드립니다.